현금흐름표(3)
우리는 이전 포스팅에서
실제 재무제표를 보며 현금흐름표의
3가지 현금흐름인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해당 개념을 바탕으로
투자에 적합한 기업을 선별할 수 있는
현금흐름 패턴분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들어가기에 앞서
*이전 포스팅과 연결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보고 오는 것을 권장합니다*
https://kyungseoisfree.tistory.com/16
현금흐름 패턴분석
기업의 3가지 현금흐름은 각각 양수 거나
음수인 형태를 띨 것이다.
따라서 영업, 투자, 재무 현금흐름이
모두 양수(+)인 경우부터
영업, 투자, 재무 현금흐름이
모두 음수(-)인 경우까지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면
총 8가지(2x2x2)가 나온다.
각 현금흐름의 음양이 다른 기업은
서로 다른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각 3가지 현금흐름이
양수, 음수인 경우를 나누어
각 경우별 기업의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을
우리는 현금흐름 패턴분석이라고 한다.
패턴 1부터 패턴 8까지
각 패턴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의
특징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자.
외우려고 하지 말고 이해하자.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패턴 1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
영업으로 버는 현금이 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도 + 다.
취득보다 처분을 많이 하여 현금이 들어왔다.
재무활동 현금흐름도 +다.
상환보다 차입을 많이 하여 현금이 들어왔다.
영업활동으로 버는 현금도 있으며
기존의 자산 처분과 차입을 통해
현금 유동성이 풍부한 기업이다.
이렇게까지 현금 유동성을 풍부하게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업 인수/합병, 신사업 진출, 업종 전환을
준비하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패턴 2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
영업으로 버는 현금이 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도 +다.
취득보다 처분을 많이 하여 현금이 들어왔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다.
차입보다 상환을 많이 하여
현금이 빠져나갔다.
영업활동으로 들어온 현금과 자산을 매각한 현금으로 빚을 갚고 있는 기업이다.
영업활동으로 돈은 벌고 있지만
아쉽게도 영업수익만으로는
빚을 갚기 어려워 자산까지 매각하여
빚을 갚고 있다.
패턴 3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
영업으로 버는 현금이 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다.
처분보다 취득을 많이 하여
현금이 빠져나갔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다.
상환보다 차입을 많이 하여 현금이 들어왔다.
영업활동으로 번 현금과 차입으로
빌린 현금으로 투자를 하고 있는 기업이다
영업활동으로 돈은 벌고 있지만
아쉽게도 영업수익만으로는
많은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워
돈을 빌려 투자를 하고 있다.
성장하고 있는 기업에서
해당 패턴이 자주 보인다.
패턴 4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
영업으로 버는 현금이 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다.
처분보다 취득을 많이 하여
현금이 빠져나갔다.
재무활동 현금흐름도 -다.
차입보다 상환을 많이 하여
현금이 빠져나갔다.
가장 이상적인 기업의 패턴이다.
영업활동으로 번 현금만으로
투자와 빚까지 갚고 있다.
그만큼 영업활동을 잘하고 있다는 증거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우량기업들이
해당 패턴에 속한다.
투자하기에 가장 적합한 기업이다.
패턴 5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
영업으로 버는 현금이 없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다.
취득보다 처분을 많이 하여 현금이 들어왔다.
재무활동 현금흐름도 +다.
상환보다 차입을 많이 하여 현금이 들어왔다.
영업활동으로 번 현금이 없어 처분, 차입을
통해 겨우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
투자 기피 기업이다.
패턴 6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
영업으로 버는 현금이 없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다.
취득보다 처분을 많이 하여 현금이 들어왔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다.
차입보다 상황을 많이 하여
현금이 빠져나갔다.
쇠퇴하고 있는 기업이다.
빚을 갚아야 하는데
영업활동으로 번 현금이 없어
자산 처분을 통해 빚을 갚고 있다.
투자 기피 기업이다.
패턴 7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
영업으로 버는 현금이 없다.
투자활동 현금흐름도 -다.
처분보다 취득을 많이 하여
현금이 빠져나갔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다.
상환보다 차입을 많이 하여 현금이 들어왔다.
아직 영업활동으로 번 현금이 없기 때문에
돈을 빌려 투자 중이다.
전형적인 스타트업 기업의 패턴이다.
패턴 8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다.
영업으로 버는 현금이 없다.
투자활동 현금흐름도 -다.
처분보다 취득을 많이 하여
현금이 빠져나갔다.
재무활동 현금흐름도 -다.
차입보다 상환을 많이 하여
현금이 빠져나갔다.
현재는 영업활동으로 번 현금이 없지만
이전에 번 현금으로 투자와 빚을 갚고 있다.
특정 분기에만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면 상관없지만
계속해서 -라면 쇠퇴 중인
기업이라고 볼 수 있다.
결론
안정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패턴 4 기업에 투자하자.
리스크를 감내하고 폭발적인
수익을 쫒는다면?
스타트업 기업인 패턴 7에 투자하자.
마지막으로 패턴 5와 6에
투자는 되도록 하지 말자.
정리
축하한다!
우리는 이제 현금흐름표의 개념과 인사이트
도출 능력을 함양하게 되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일정시점에서 기업의 자본의 크기와
일정기간 동안 자본 변동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인 자본변동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경제 이야기 > 재무제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법 17.자본변동표 (1) | 2023.06.05 |
---|---|
재무제표 보는법 15.현금흐름표(2) (0) | 2023.05.30 |
재무제표 보는법 14.현금흐름표 (0) | 2023.05.25 |
재무제표 보는법 13.손익계산서(2) (0) | 2023.05.08 |
재무제표 보는법 12.손익계산서(1)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