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는?
이 정도는 알아두자!
해당 포스팅은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뜻과 차이점을 다룬다.
두 금리의 뜻이 궁금한 독자나
두 금리의 차이가 궁금한 독자는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1. 명목금리란?
2. 실질금리란?
3. 마치며
명목금리란?
명목금리란 일반적으로 은행이 대출 또는
예금 상품을 제공할 때 적용하는 금리다.
간단히 말해서 통장에 찍히는 금리다.
은행이 매년 1%의 이자를 쳐 준다고 할 때
1%가 명목금리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년이 되면
통장에 있는 돈이 1% 늘었으니
내 돈의 가치 또한 1% 늘어난 상태일까?
아닐 확률이 높다.
명목금리는 물가상승률,
즉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년에 만약 물가가 2% 올랐다면
통장에 돈을 넣는 것이 손해다.
이처럼 명목금리는 물가상승률,
즉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돈의 가치의
증감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실질금리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실질금리란?
실질금리란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금리값이다.
만약 명목금리가 3%고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이 2%라면
실질금리는 1%가 되는 것이다.
이는 통장에 돈을 넣으면
통장에 있는 돈이 3% 늘어나지만
물가 상승률이 2% 이므로 실질적으로
내 돈의 가치는 1%가 늘어났음을 뜻한다.
이처럼 실질금리는
실제 구매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뜻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명목금리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금융 결정이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예금을 해야 할지,
아니면 투자를 해야 할지 등
금융 계획을 세울 때는 명목금리가 아닌
실질금리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같이 보면 좋은 글
'경제 이야기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횡재세란? 횡재세 뜻과 부작용까지 한 번에! (0) | 2023.12.08 |
---|---|
CBDC 란? 장단점까지 한 번에! (0) | 2023.10.05 |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 (0) | 2023.09.02 |
어닝쇼크 뜻 주가에 미치는 영향까지 한 번에! (0) | 2023.08.30 |
OEM 뜻 ODM과 차이까지 한 번에!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