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경제 용어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는? 이 정도는 알아두자!

반응형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는?

이 정도는 알아두자!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는? 이 정도는 알아두자!

해당 포스팅은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뜻과 차이점을 다룬다.

 

두 금리의 뜻이 궁금한 독자나 

두 금리의 차이가 궁금한 독자는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1. 명목금리란?
2. 실질금리란?
3. 마치며

명목금리란?

 

명목금리란 일반적으로 은행이 대출 또는

예금 상품을 제공할 때 적용하는 금리다.

간단히 말해서 통장에 찍히는 금리다.

 

은행이 매년 1%의 이자를 쳐 준다고 할 때

1%가 명목금리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년이 되면

통장에 있는 돈이 1% 늘었으니

내 돈의 가치 또한 1% 늘어난 상태일까?

아닐 확률이 높다. 

 

명목금리는 물가상승률,

즉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년에 만약 물가가 2% 올랐다면

통장에 돈을 넣는 것이 손해다.

 

이처럼 명목금리는 물가상승률,

즉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돈의 가치의

증감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실질금리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실질금리란?

 

실질금리란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금리값이다.

 

만약 명목금리가 3%고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이 2%라면

실질금리는 1%가 되는 것이다.

 

이는 통장에 돈을 넣으면 

통장에 있는 돈이 3% 늘어나지만

물가 상승률이 2% 이므로 실질적으로

내 돈의 가치는 1%가 늘어났음을 뜻한다. 

 

이처럼 실질금리는

실제 구매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뜻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명목금리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금융 결정이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예금을 해야 할지,

아니면 투자를 해야 할지 등

금융 계획을 세울 때는 명목금리가 아닌

실질금리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인플레이션이란? 5분 만에 이해 가능!

인플레이션이란? 5분 만에 이해 가능! 해당 포스팅은 인플레이션의 뜻과 인플레이션의 위험성을 다룬다. 인플레이션의 뜻이 궁금한 독자나 인플레이션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한 독

kyungseoisfree.tistory.com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 해당 포스팅은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투자를 자제해야 되는 이유를 다룬다. 스태그플레이션의 뜻이 궁금한 독자나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채권

kyungseoisfree.tistory.com

 

금리인상 금리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금리인상 금리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해당 포스팅은 금리인상과 금리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설명한다. 금리인상, 금리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한 독자나 금리인상,

kyungseoisfre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