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재세란?
횡재세 뜻과 부작용까지 한 번에!
최근 국회에서 횡재세 법안 심의에 돌입했다.
해당 포스팅은 횡재세의 뜻과
도입배경, 부작용을 다룬다.
횡재세의 뜻이 궁금한 독자나
횡재세의 도입배경, 부작용이 궁금한 독자들은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1. 횡재세란? 횡재세 뜻
2. 횡재세 부작용
3. 마치며
횡재세란? 횡재세 뜻
횡재세란 기업 내부의 요인이 아닌
외부의 요인으로 인해 갑자기 발생한
초과 수익에 물리는 세금을 뜻한다.
즉, 기업이 잘해서 번 돈이 아닌
전쟁이나 천재지변등으로 인한 외부요인으로
벌어들인 수익 중 일부를 세금으로 내라는 것이다.
최근 횡재세 논의가 불거진 이유는 은행 때문이다.
기준금리가 최근 2년간 가파르게 올랐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자연스럽게
예금금리와 대출금리도 오르기 마련이다.
금리의 뜻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하다면?
5분 만에 이해하고 다시 오기
그러나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가 더 빨리 올랐다.
최근 2년간 예금금리는 평균 2.05% 상승했지만
대출금리는 평균 2.40% 상승했다.
이는 은행이 고객에게 주는 돈보다
받는 돈이 더 많아졌다는 뜻이며
당연하게도 은행의 이자이익은 상승했다.
이를 두고 은행의 이익이 커졌으니
커진 이익의 일부를 빛 부담이 커진
취약계층에게 일부 환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은행업은 다른 산업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의 공공성을 요구받는 점 또한
횡재세 논의가 나올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다.
그렇다면 횡재세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는 무엇이 있을까?
횡재세 부작용
횡재세 도입은 여러 부작용을 발생시킬 것이다.
그중 대표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횡재의 정확한 기준 정립 미흡
횡재세를 도입하기 이전부터
하나의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횡재의 정확한 기준은 무엇인가?"이다.
실제로 은행은 최근 2년간 이자이익이 증가했다.
그러나 이자이익이 증가한 이유를
100%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해 발생했다
라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2년간 은행에서 고객에게
대출해 준 자산 자체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횡재세를 얼마나 물려야 하는지,
어떠한 근거를 바탕으로 물려야 하는지 등
납득할 수 있는 기준을 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취약계층 피해 예상
횡재세는 은행의 추가적인 이자이익에
부가하는 세금이다.
또한 세금과 관련된 정책은 기업의
행동을 바꾸도록 유인한다.
만약 횡재세가 도입된다면 은행 입장에서는
최대한 이자이익을 줄이고자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은행은 대출을 줄이는 선택을 할 수도 있다.
대출을 줄인다면 취약계층을
위한 대출이 가장 먼저 줄어들 것이다.
취약 계층은 신용도가 낮기 때문이다.
즉, 취약계층을 돕자는 취지로 도입된 횡재세가
오히려 취약계층의 경제활동에 피해를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횡재세는 도입 이후뿐만 아니라
도입 이전에도 여러 문제들에 직면한다.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횡재세의 뜻과 도입배경,
횡재세의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횡재세가 만약에 도입된다면 취지에
부합하면서 부작용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방안과 세부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같이 보면 좋은 글
'경제 이야기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O란? STO 뜻과 관련주까지 한 번에! (0) | 2023.12.14 |
---|---|
실손보험 이란? 실손보험 뜻 5분만에 이해하기 (0) | 2023.12.10 |
CBDC 란? 장단점까지 한 번에! (0) | 2023.10.05 |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는? 이 정도는 알아두자! (0) | 2023.09.06 |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투자하면 안 되는 이유 (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