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용어 PEG 뜻 저평가주 찾는 방법
해당 포스팅은 전설적인 투자자 피터 린치가
고안한 주가지표인 PEG의 뜻과 PEG를
활용하여 저평가주를 찾는 방법을 다룬다.
PEG의 뜻이 궁금한 독자나
저평가주를 찾고 있는 독자는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1. PEG 뜻
2. PEG 계산 방법
3. 저평가주 찾는 방법
4. 마치며
PEG 뜻
PEG는 PER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주가 지표로
월가 전설의 펀드매니저였던 피터 린치가
성장주를 발굴하는 데 사용한 지표다.
PER은 현재 주가를 EPS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주가를 현재 이익에 대한
상대적 가치로 평가한다.
PER과 EPS를 모르는 독자는
해당 포스팅을 반드시 참고 바란다.
물론 PER도 적정 주가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적인 지표다.
하지만 PER은 기업의 성장률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PER이 높은 기업이
정말로 주가가 고평가 돼있는 건지,
아니면 사실 높은 이익 성장률을
가지고 있어 PER이 높게 나온 것인지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긴다.
만약 후자라면 PER로 인해
높은 성장률이 기대되는
기업을 놓치는 안타까운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탄생한 지표가 바로 PEG다.
그렇다면 PEG는 어떻게 계산할까?
PEG 계산 방법
PEG는
PER을 EPS 성장률로 나눈 값이다.
이때 PER은 12개월 선행을 사용한다.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해 보자.
A 기업의 선행 PER은 10이다.
또한 지금까지 EPS가 매년 20%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B 기업은 선행 PER이 5다.
또한 지금까지 EPS가 매년 5%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토대로 A, B의 PEG를 구해보면
A의 PEG는 0.5(10/20),
B의 PEG는 1(5/5)이 나온다.
PER로만 따졌다면 A 기업이 B 기업보다
고평가 되어있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그러나 PEG로 계산해 보니 오히려
A 기업이 B 기업보다
저평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PEG는 기업의 성장성을 고려하여
저평가주를 찾아내는 지표다.
그렇다면 PEG가 어느 정도일 때
저평가주라고 판단할 수 있을까?
저평가주 찾는 방법
피터 린치는
PEG가 0.5 이하인 주식을 저평가주,
1.5 이상인 주식을 고평가주로 판단했다.
그는 이 평가 기준을 자신의
투자 방식에도 그대로 적용시켰다.
실제로 그는 주식을 매매할 때
PEG가 1 미만인 기업 주식을 매수하고
1.5 이상으로 올라가면 대부분 매도하였다.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주식용어 PEG의 뜻과 계산방법,
PEG를 활용하여 저평가주를
찾는 방법까지 알아보았다.
PEG는 PER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그렇다고
PEG가 PER보다 우월한 것은 아니다.
PEG는 성장률을 계산할 때
과거의 성장률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하지만 과거의 성장률과 미래의 성장률이
항상 동일하다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저평가주를 찾기 위해서는
PEG 뿐만 아니라
ROE, PBR, PER, EPS 등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같이 보면 좋은 글
↓
'경제 이야기 > 주식&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S 상품이란? 장단점까지 한 번에! (0) | 2023.08.29 |
---|---|
23년 9월 공모주 청약 일정 재무정보까지 한 번에! (0) | 2023.08.27 |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란? 주가에 미치는 영향까지 한 번에! (0) | 2023.08.26 |
EPS란? 저평가된 주식 찾는 방법 (0) | 2023.08.25 |
스팩주란? 스팩주 합병 후 주가는? (0)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