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재무제표

재무제표 보는법 11.회계등식 정리

반응형

회계등식 정리

재무제표 보는법 11.회계등식 정리

우리는 이전 포스팅에서 

건전한 기업을 선별하는 지표인 자본잠식을

부분잠식, 완전잠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자본잠식률을 통해 

주식 종목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상장폐지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곧 배울 4종류의 재무제표가 

회계등식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들어가기에 앞서 

*이전 포스팅과 연결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보고 오는 것을 권장합니다*

https://kyungseoisfree.tistory.com/11?category=1020468 

 

재무제표 보는법 10.자본잠식

자본잠식 우리는 이전 포스팅에서 재무제표 보는 법을 배우기 위해 회계등식의 마지막 항인 자본을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결손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헷갈

kyungseoisfree.tistory.com


다시 회계등식으로

 

재무제표 쉽게 보는 법 시리즈의

첫 번째 포스팅, 회계등식 편을 기억하는가?

https://kyungseoisfree.tistory.com/2

 

재무제표 쉽게 보는 법, 1.회계등식

재무제표 보는 법을 배워야 하는 이유 2020년 코로나 사태를 기억하는가? 모든 주식 가격이 20% 가까이 폭락했고 대중들은 패닉셀을 하기 바빴다. 그러나 우리가 헐값에 매도할 때 부자들은 오히

kyungseoisfree.tistory.com

 

해당 포스팅에서 필자는

자산 = 자본 + 부채라는 간단한 등식에

재무제표의 4종류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말한 적이 있다.

 

다시 한 번 회계등식 공식을 들여다보자.

 

회계등식 공식
회계등식 공식

 

기억이 새록새록 나는가?

이제 이 등식에서 4종류의

재무제표를 찾아보자. 

 

첫 번째로 자본 항목(파란 선)을 보자.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결손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회계기간(주로 1년)을 기준으로

자본 전체의 변동 내역을 표시하는

재무제표를 자본변동표라고 한다. 

 

두 번째로 이익잉여금(노란 선)을 보자.

이익잉여금(결손금)은 순수익, 손해의

누적금액임을 이전 포스팅에서 배웠다. 

 

이때 회계기간(주로 1년)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 동안

모든 수익과 모든 비용을 표시하여

손익을 표시하는 재무제표를

손익계산서라고 한다.

 

세 번째로 회계등식 전체(빨간 선)를 보자.

다른 종류의 재무제표와는 다르게 특정일을 찍어서 그날의 재무 현황을 보여주는 

재무제표를 재무상태표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검은색을 보자.

이 모든 재무활동 중

현금의 흐름을 추적할 수 있게 해주는 

재무제표를 현금흐름표라고 한다.

 

우리는 이 4개의 재무제표 중 놀랍게도

1개의 재무제표는 이미 거의 읽을 줄 안다. 

바로 재무상태표다.

못 믿겠다고?

아래의 재무제표를 잠깐 보자.

 

기업A의 재무상태표
기업A의 재무상태표

 

자산을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으로

부채를 유동부채, 비유동부채로

자본을 자본금, 이익잉여금으로

 

익숙하지 않은가?

우리는 재무제표 보는 법 1~10의 포스팅으로

재무상태표를 이미 숙달했다.

 

또한 해당 재무상태표를 통해

재고자산회전일수, 부채비율, 현금순환주기, 차입금의존도, 자본잠식률 등등 

여러 지표들을 통해 투자할 기업을 선택할 

안목 또한 우리는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배워야 할

재무제표가 3가지로 줄어든다.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하나하나씩 해보자.

지금까지 왔다면

문제없이 끝마칠 수 있을 것이다. 


정리

오늘은 회계등식 속 모든 종류의

재무제표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기업이 얼마를 벌고

얼마를 남겼는지 확인할 수 있는 

손익계산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