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경제 용어

산타랠리 뜻 이번 년에도 올 가능성이 높은 이유

반응형

산타랠리 뜻

이번년에도 올 수 있을까?

산타랠리 뜻 이번년에도 올 수 있을까?

뜨거웠던 미국 고용시장이 식어가고 있는 

지표가 점차 나오고 있다. 

 

또한 이번 12월 금리동결 선언으로

금융시장에 산타랠리가 오지 않을까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해당 포스팅은 산타랠리의 뜻과

이번 년 산타랠리의 실현 가능성을 피력한다.

 

산타랠리의 뜻이 궁금한 독자나

12월 금융시장의 전망이 궁금한 독자는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1. 산타랠리 뜻
2. 산타랠리 실현 가능성
3. 마치며

 


산타랠리 뜻

산타랠리 뜻

산타랠리의 뜻은 크리스마스 연휴 앞뒤로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를 '산타가 주식 시장에 선물을 주고 갔다'

라고 하여 산타랠리라는 이름이 탄생했다.

 

산타랠리 현상의 원인을

연말 정산 시기에 투자자들이 

결산을 위해 주식을 매수하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있으며

 

연말에 받는 성과급을 주식 투자에 

사용하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한다고

보는 시각 또한 존재한다.

 

산타랠리는 미국 증시와는 다르게

한국 증시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 편이다.

 

한국 기업 대부분의 배당기준일이

12월 26일이기 때문이다.

 

12월 26일 이후에 매수한 주식에는 

배당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많은 투자자들이 12월 26일까지만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가 27일이 되면

주식을 매도한다. 

 

매도세가 강해지니 산타랠리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번 연도에도 미국 증시에 

산타랠리가 올 수 있을까?


산타랠리 실현 가능성

최근 산타랠리 실현 가능성은 매우 높아졌으며

이미 시작되고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그 이유는 바로 어제 진행된 FOMC 때문이다.

 

연준의 금리인하 논의

12월 14일에 진행된 FOMC에서

연준은 내년 3차례 금리 인하를 점쳐

사실상 금리 인상을 멈췄다는 신호를 주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또한

'금리 인하 시기를 논의하고 있다'라는 발언을 하며

금리 인하 시기가 멀지 않았음을 방증했다.

 

이는 주식 시장에서는 매우 큰 호재로 작용된다.

금리가 인하되면 예금금리, 대출금리 또한 하락한다. 

 

금리 인하로 인해 예금자 수는 줄어든다.

예금금리가 인하되어

이자율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금리 인하로 인해 대출자 수는 늘어난다.

대출금리가 인하되어

갚아야 할 이자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예금금리 인하로 인해

은행에 있었던 돈이 시중으로 이동하며

대출금리 인하로 인해

대출받은 돈이 시중으로 이동한다.

 

이전에 비해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이 늘어났다.

그리고 많아진 돈의 양은 자연스럽게

주식 시장으로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금리 인하는 증권 시장에서 

큰 호재로 보는 경향이 있다.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산타랠리의 뜻과 

산타랠리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귀하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하겠다.

 

같이 보면 좋은 글

 

금리인상 금리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금리인상 금리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해당 포스팅은 금리인상과 금리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설명한다. 금리인상, 금리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한 독자나 금리인상,

kyungseoisfree.tistory.com

 

채권 투자 방법, 하이일드 채권에 주목하라

채권 투자 방법, 하이일드 채권에 주목하라 현시점 국채 대비 금리, 가격 매력이 있는 하이일드 채권의 투자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해당 포스팅은 현재 상황에서 하이일드 채권 투자의 매력성

kyungseoisfree.tistory.com

 

금 투자 방법 3가지 지금 투자해야 하는 이유

금 투자 방법 3가지 지금 투자해야 하는 이유 해당 포스팅은 내년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으로 인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금 투자 방법을 다룬다. 금 투자를 지금 시작해야 하는 이유가 궁금한

kyungseoisfree.tistory.com

반응형